세계 문학전집 하면 떠오르는 이 출판사, 혹은 이 책 표지 익숙하시죠.<br /><br />문학은 물론, 철학과 사상 분야의 이론들이 '민음사'를 통해 한국에 들어왔다고 할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바로 이 민음사를 연 박맹호 회장이 향년 84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'출판계의 거목' 이라는 수식어가 늘 붙는 박맹호 회장.<br /><br />박맹호 회장의 살아온 삶 자체가 우리 출판계의 역사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충북 보은에서 태어나, 서울대 불문과를 졸업한 박맹호 회장, 원래 꿈은 소설가였습니다.<br /><br />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'자유풍속'을 투고했습니다.<br /><br />자유당 정권을 풍자한 소설이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정권을 과도하게 비판했다는 이유로 최종심사에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이때 박맹호 회장이 소설가로 등단했다면, 지금의 민음사는 존재하지 않았겠죠?<br /><br />소설가의 꿈을 접은 후 박맹호 회장이 청진동 옥탑방에 연 1인 출판사가 민음사입니다.<br /><br />직접 당대의 문학 인재를 발굴하자는 새로운 모험을 시작한 겁니다.<br /><br />'한국 최초'라는 수식어가 붙었던 민음사의 기획들.<br /><br />민음사라는 든든한 나무 아래에서 내로라하는 수많은 문인이 꿈을 펼쳤습니다.<br /><br />옥탑방 민음사의 문턱이 닳도록 드나든 고은 시인, 비평가이자 소설가 김현부터 신인이었던 시인 김수영과 이성부, 강은교를 세상에 알린 것도 민음사였습니다.<br /><br />소설가 이문열을 발굴하고, '경향신문'에 이문열의 '삼국지'를 연재할 것을 추천한 것도 박맹호 회장입니다.<br /><br />박맹호 회장의 자서전 '책'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.<br /><br />"가끔 길을 가다 수십 층짜리 빌딩을 올려다보면서 생각한다. 누군가는 돈을 벌어 저 빌딩을 올렸을 테지만 나는 평생 책을 쌓아 올린 셈이다. 어느 쪽이 더 보람찬 인생일까."<br /><br />문학에 대한 억압이 있었던 시절에도, 책에 대한 관심이 적어질 때도, 출판업의 위기를 이야기할 때도 소신 있게 책이라는 외길을 뚜벅뚜벅 걸어온 박맹호 회장.<br /><br />박맹호 회장은 평소 이렇게 기억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책을 사랑하다, 책을 만들다, 그리고 사라졌다.<br /><br />민음사의 책을 읽으며 자란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고인은 이렇게 오래도록 기억될 것입니다. 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12314003366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